미술임용5 키치 미술의 확장 제프 쿤스 20세기 예술가들의 미적인 전개는 수많은 물질의 범람만큼이나 다양하다. 특히 뒤샹 이후 보편화된 레디메이드의 사용은 물질 숭배 사상과 맞물려 난해한 미의식을 쏟아냈다. 또한 싸구려 모조품이나 잡동사니 쓰레기까지 이용하는 현대 미술의 전개는 과연 이것이 아름다움을 실현시키는 미술인가하는 의구심을 품게 만든다. 그러나 저급한 물질의 사용과 대중적인 의식의 등장은 상류 사회의 고급 미술이 지닌 고귀함과 상반되는 보편적인 미술의 확산을 부추기며 하나의 미술 양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일명 '키치' 라고 하는 이 새로운 장르는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실현되었다. 독일어 'Verkitschen(베르키첸)'에서 유래된 말로서 가짜, 쓰레기, 싸구려' 등을 지칭한다. 이는 부유층들이 쓰다가 내다버린 물건들을 빈민.. 2023. 7. 9. 영상의 추구 브루스 나우만 고대 이집트 문명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처럼 몇천 년에 걸쳐 이루어진 문명의 퇴적이 현대에는 몇백 년, 아니 몇십 년만에 하나의 양식으로 성립되는 것을 볼 때 시간의 연속성과 정신성의 진화라는 측면에서 실로 무상함을 느낀다. 미적 태도에 따른 미술 양식이 그 시대의 정신성과 밀접함을 보이며 그 시대의 가치관을 대변하는 것은 1900년대의 수많은 양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양식의 생성에는 빠른 속도로 진보를 거듭해온 과학 기술의 몫을 제외할 수 없다. 생활의 편리함만이 아니라 철학적 사고와 가치관을 급속히 변화시키며 예술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 과학 기술은 그 만큼 조형 언어의 확대를 도와주었다. 과거의 평면적이거나 입체적인 기본 구조에 충실했던 예술 작품을 현대에는 영상과 음향을 포함한 매.. 2023. 7. 9.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각가 토니 크랙 넘쳐나는 물질과 버려지는 산업 폐기물 속에 정신성과 고고학적인 가치와 미학적 태도를 이입시킨다면 예술의 표현 가능성은 크게 확장될 것임에 틀림없다. 영국의 조각가 겸 설치 미술가 토니 크랙(Tony Cragg, 1949~)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하여 자신의 예술적 지향점을 이룩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산업 폐기물인 오브제를 조각의 매체로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 현대의 대량 생산과 그에 맞물린 대량 소비로, 버려지고 쓸모없어진 많은 잡동사니 물질은 그의 작품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훌륭한 재료이다. 1949년 영국 리버풀에서 태어나 현재 독일의 뒤셀도르프 미술학교 교수로 있는 토니 크랙이 산업 재료인 화학 물질과 공업 제품을 많이 사 용하게 된 것은 화학자의 길을 걸으려고 했던 그의 젊은 시절과 .. 2023. 7. 9. 듀안 핸슨과 존 드 안드리아의 하이퍼리얼리즘 조각 살아 움직이는 듯한 모습, 인간의 피부와 같은 질감의 손과 발, 생생한 머리카락, 쉽게 구할 수 있는 몸에 걸친 옷과 액세서리, 모든 것을 인간과 똑같이 재현해놓은 조각이 있다면 감상자는 자신의 일부분과 비교하는 흥분에 빠질 것이다. 실제로 존재하는 우리 주변의 사람보다 더욱 사실적으로 제작된 작품은 보는 사람에게 특별한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묘한 심리를 촉발시킨다. 1960년대 후반, 미국 팝 아트의 영향력 아래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생겨난 새로운 경향의 하이퍼리얼리즘 Hyperrealism(극사실주의)은 미국을 위시하여 유럽 각지로 이어졌고 슈퍼 리얼리즘Super Realism, 포토 리얼리즘Photo Realism, 뉴 리얼리즘 New Realism의 명칭으로 불리며 미국적 사실주의로 정착하게.. 2023. 7. 9. 절대의 미 리처드 세라 거대한 녹슨 철판이 물질 자체의 재질감을 유감없이 드러내며 건축의 기본 구조물처럼 도시의 광장에 세워져 있다. 이것이 조각 작품이라고 한다면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기념비적 조각의 개념은 완전히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 1938~)는 기존의 조각적 이미지를 바꿔버린 미국의 대표적 조각가이다. 그는 공사장에서 쓰이는 대형 철판을 용접하거나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고 휘거나 구부려서 자유로운 형태를 이끌어냈다. 그리고 인공으로 조성된 넓은 도시의 광장과 끝없이 펼쳐진 대지 위에 굳건하게 설치했다.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까지 생계를 위해 철공장에서 일한 경험은 철을 주재료로 무리없이 다루는 데 도움이 되었다. 초기 작품은 1966년에 고무로 된 벨트를 벽면에 설치하는 시.. 2023. 7.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