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미술사/조각사

로마 미술 조각(후기 제국시대)

by _____seula 2023. 5. 18.

로마의 번영과 권위의 상징, 개선문

로마 후기 제정시대에 이르면 조각 및 건축 양식이 매우 극적이고 거대한 규모로 변하여 보는 사람을 압도한다. 이 점은 역사적인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 보편적으로 로마 황제의 행적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망과 전쟁에서 승리한 민중들의 국민성 고취 및 국가주의적인 권위를 내세우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로마의 건축은 고대 에트루리아에서 비롯된 아치, 돔 등의 제작 기술에 그리스 헬레니즘 문화의 전통이 더해져 로마적인 독특한 양식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둥근 지붕과 천장을 위한 볼트와 콘크리트의 사용은 대규모 건축을 실현시켰고 후세의 건축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로마의 건축물은 바실리카, 공중 목욕장, 극장 그리고 개선문과 경기장 등 대개 공공의 집회와 목적을 위해 세워졌다. 이 중에서 관중을 4만 5천 명이나 수용할 수 있고, 마차 경주 및 검투사와 야수들의 싸움이 벌어졌던 콜로세움은 상상을 초월한 규모와 웅장함을 과시한다. 이와 함께 실용적인 목적의 수도교, 도서관 등이 종래에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세워졌다.

개선문의 경우, 공화정 시대에 건조된 것은 대문의 역할과 의미만 있었지만 제정 시대에는 상당히 발전하여 그리스 시대의 건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창성을 지니게 되었다. <아우구스투스 개선문>, <티투스 개선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등은 특히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아름다운 건축으로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개선문은 대부분 한 개나 혹은 세 개의 아치로 된 통로를 두고 있으며,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고 그 영광을 기리기 위해 전면, 옆면, 뒷면에 역사적 사실을 부조로 장식했다. 공화정 시대에 축조된 개선문으로는 리미니 지역의 것과 고대 도시 수사에 있는 <아우구스투스 개선문>을 들 수 있는데, 모두 로마 초기의 것으로서 현재는 그 좌대만 남아있다. 옛 문헌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장군과 부장들은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개선할 때 반드시 개선문의 아치 통로를 거쳐 로마로 들어왔으며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유피테르 신전>에 참배하고 승전을 보고했다고 한다. 제정 시대 초기에 오면서 개선문은 본격적으로 항구적인 독립 건축물로서의 역할을 지니게 되고 그리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조각과 장식을 곁들임으로써 로마만의 독특한 형식을 형성한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티투스 개선문>은 높이 15.4m로 비교적 작은 규모이며 하나의 큰 아치 통로가 있는 간결한 형태를 띤다. 아치 내부에 조각된 부조는 티투스 황제의 예루살렘 공략을 기념하는 내용으로, 전리품을 메고 개선문을 통과하고 있는 승리의 행렬을 묘사하고 있으며, 인물의 배치와 움직임 등이 무척 자연스럽다. 

로마 황제 티투스는 재위 기간 중 폼페이 시의 매몰, 로마의 대화재, 페스트의 만연 등 불행한 사건을 많이 겪은 황제로서 재건 및 구제 사업을 통해 로마를 구한 인물로 전해진다. 후기 제정시대에는 웅장한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이 있다. 막센티우스와 벌인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여 315년경 세워졌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쇠퇴 일로의 로마를 부흥시키려는 신념을 가진 인물로, 즉위 10주년을 기념하고 로마의 위력을 다시 한번 과시하기 위해 이 개선문을 세웠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를 공인한 황제로서 그 자신이 기독교에 깊이 빠졌으며 밀라노 칙령(313년)을 통해 신앙의 자유와 교회의 사법권, 재산권 등을 인정한 왕이었다.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은 양식적으로 매우 특이한 점이 있다. 세 개의 아치 통로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색깔이 있는 대리석을 사용하여 장식적인 면에 치중했다는 것이다. 개선문을 장식한 화려한 조각은 로마 초기 한때 부흥했던 황제들 시대의 건물에서 떼어와 붙인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개선문 전면을 장식하고 있는 저부조나 상단의 고무조는 그리스 신전의 페디먼트와 프리즈에서 보이는 조각 양식에서 벗어날 수 없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호화스러운 이 개선문들은 근대 유럽 여러 곳에서 모방되어 세워졌다. 파리의 <에트와르 개선문>과 도리스식 원주를 배열한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개선문> 등이 그 영향을 잘 말해주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