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미술사/조각사

미국 최초의 철조각가 데이비드 스미스

by _____seula 2023. 6. 24.

현대 사회에 쓰이는 모든 기계류, 기성품, 공산품의 재료에는 철이 포함되어 있다. 철은 다양한 이용방법을 통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인류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물질이다. 철은 또한 현대 미술, 특히 조각과 입체물의 창조와 창작에 기여하는 재료로 많은 쓰임새를 보이고 있다. 절단하고 접고 구부리고 용접하는 등 철을 다루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조각에 있어서 철은 독창성의 전유물로 여겨지며 사용되어 왔다. 

미국 최초의 철조각가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 1906-1965)는 철 조각의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다. 독특한 작업과 새로운 시도를 통해 그는 현대 미술 안에서 중요한 조각가로 기억되고 있다. 스미스는 최초로 철용접 조각을 시도한 스페인 사람 곤잘레스에게서 기술 상의 문제를 도움받았고 칸딘스키와 몬드리안에게서 미학적인 영향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1930년대 유럽의 초현실주의의 영향과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의 운동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그의 조각에 나타나는 재료의 특징과 조형 원리를 살펴볼 때 공업적이고 산업적인 재료 사용과 기술 방법을 빼놓고는 그의 독특한 조형 감각을 이야기할 수 없다. 스미스의 작업은 오브제를 이용한 아상블라주 Assemblage와 모빌 Mobile, 그리고 용접 기법으로 이루어졌다. 근느 다양한 기법과 실험을 통해 금속 조각의 영역을 개척했으며 기존의 통속적인 조각의 의식을 넓혔다.

스미스는 조각가 이전에 화가였다. 이 점이 구성적인 요소를 창출해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됐으며, 다수의 작품에서 추상적인 회화의 이미지를 엿볼 수 있다. 그 예로 <오스트랄리아>는 하늘이나 벽을 배경으로 정면에서 감상해야만 진가를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서 선적인 유연함을 지닌 평면성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그는 캔버스에서 이루어지는 회화적인 요소를 조각에 적용시켜 자유롭게 제작했다. 

1950년대 이후부터 1965년 교통 사고로 운명을 달리할 때까지 데이비드 스미스는 매우 다양한 형식의 철용접 조각을 시도했고,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구성주의 경향을 보이는 조각과 거대한 기념비적 작품을 제작했다. 그의 작품 중에서 15개 이상의 시리즈가 있다. 이 중 1951년부터 제작된 <아그리콜라> 시리즈는 농사를 짓는 데 사용되는 연장들을 작품에 도입한 것이다. <탱크토템> 시리즈는 공간 속에 아무렇게나 세워진 표지판 같은 느낌, 즉 기호적인 특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조각의 평면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들 속에는 부피감과 양감은 존재하지 않고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기호만이 존재한다. 그 후 <센티넬> 시리즈에 이어 <지그>시리즈에서는 인간의 모습이 사라지고 대포와 같은 형상이 등장하여 전쟁과 폭력에 대한 정치적 견해를 드러냈다. 널리 알려진 <볼트리> 시리즈는 말년에 제작된 것으로, 초기의 초현실주의적인 토템 이미지와 다르게 매우 기념비적이고 구성적인 면이 돋보인다. 스미스의 마지막 시리즈로는 <큐비>가 있다. 광택을 낸 스테인리스 스틸의 번쩍이는 표면을 거칠게 갈아서 효과를 낸 대규모 작품이다. 주로 기본적인 육면체를 이용하여 용접하고 표면을 갈아서 제작한 이 시리즈는 앞서 제작했던 작품들과 같이 전통과의 단절을 시도한 도발적인 작품들이다.

피카소와 곤잘레스의 금속 용접 조각을 극복하고,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철용접 조각의 새로운 장을 열었던 데이비드 스미스는 철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조각에서 보이던 전통적인 재료의 벽을 허물고 의식의 전환을 이루었다. 그의 작품의 주된 주제는 폭력 이미지, 토템 이미지, 그리고 괴물 이미지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 역시 내면적 표현 욕구와 급변하는 시대의 불안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데이비드 스미스는 철을 이용하여 2차원의 회화성을 3차원의 공간, 즉 조각에 도입하고 응용하여 상당히 개성적이고 혁신적인 작품을 창조해낸 실험적인 조각가로 평가받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