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미술사/조각사

총체적 예술 설치 미술

by _____seula 2023. 7. 9.

현대 미술의 다양한 경향과 흐름을 특별히 어떤 양식이라고 정의하기는 무척 어렵다. 다만 전통적인 표현 방법의 거부를 그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특히 평면 회화보다 입체 조각이 이러한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새로운 전시 형태인 설치 미술은 우리들에게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난 색다른 사고의 변화를 경험하게 해준다.

설치 미술 Installation Art은 온갖 종류의 물질부터 인간의 깊은 정신성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환경을 포함하는 공간에 놓이면 미술품이 된다는 것이다. 설치 미술은 입체물을 전시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작품을 정해진 장소에 놓거나 구성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설치 미술은 주변과 공간을 이용해서 환경적인 변화를 주고자 하는 것으로, 하나의 미술 양식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작품의 내용이나 성격을 충분히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평면 그림의 의미 전달을 위해 바닥과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라든가 다양한 종류의 기성품을 작품에 등장시키는 것, 인체를 이용하여 퍼포먼스나 해프닝을 연출하는 것 모두가 설치 미술의 범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역사, 사회, 문화, 시간 등 모든 것을 포함하는 4차원적 공간, 비디오, 오디오, 테크놀러지 등 전자 미디어에 대한 관심 뿐만 아니라 작품에 대한 관람객의 참여와 개입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면 모두 설치 미술의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1942년 뉴욕에서 열린 마르셀 뒤샹의 <초현실주의 제1서류전>은 설치미술의 효시라고 볼 수 있으며(온 전시장을 마치 거대한 거미줄처럼 흰 끈으로 감아 놓음) 그의 레디메이드 역시 설치 미술과 연결된다. 이후 현대 미술에서 설치의 형식을 가지고 활발한 활동을 한 작가로는 독일이 낳은 20세기 최고의 행위 예술가이며 설치 미술가인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1921-1987)와 바닥에 좌대 없이 조각품을 설치하여 평면성을 강조한 조각가 칼 앙드레 그리고 리처드 롱, 로버트 스미슨, 오펜하임 등이 있다. 모두들 환경을 이용한 대지 미술이나 개념 미술 등을 선보인 작가들이다. 이와 같이 설치 미술은 80년대와 90년대의 현대 미술 작가들에게 자유롭고 광범위한 개념으로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바야흐로 '모든 것이 예술이다' 라는 인식이 심화되고 환경 및 공간의 탐구가 지속되면서 설치 미술은 하나의 '총체적 예술 Total Art'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설치 미술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영상이나 사진으로 남게되는 불영속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일정 기간이 지나 전시 장소에서 작품을 철수하게 되는 순간 그 의미와 형태는 상당히 격감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설치 미술은 현대 미술 속에서 다양한 실험성을 보이며 그 깊이를 더해가고 있다. 또한 설치 미술은 관람자의 참여를 유도하며 미술의 일상화에 지속적으로 노력함으로써 보편화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설치 미술이 과연 관람자에게 예술의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미적인 감정의 자극에 성공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