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미술사/조각사

최소한의 예술 미니멀 아트

by _____seula 2023. 7. 9.

전통적으로 조각을 구성하고 있는 양감의 조화와 살아 숨쉬는 듯한 생동감 그리고 감정을 자극하는 내용을 완전히 배제한다면 작품은 무척 무미건조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실이 하나의 양식으 로서 조각사에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 조각의 다양한 조형적 요소를 완전히 버리고 최소한의 구조와 근본의 탐구에 열중한 결과 1960년대 중반 미국을 중심으로 미니멀 아트 Minimal Art라는 새로운 양식이 태어났다. 물체의 근본적인 형태인 육면체, 구, 원기둥, 각기둥 등을 철저하게 추구한 미니멀 아트는 '최소한의 예술'이라는 뜻이다.

미니멀 아트의 발생은 러시아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평면 회화와 뒤샹의 레디메이드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의 탐구를 통해 내용의 최소성을 주장한 말레비치의 회화와 상통하며, 작가가 발견한 오브제가 그대로 작품이 될 수 있다는 뒤샹의 형식의 최소성과도 맥을 같이 한다.

미니멀 아트는 종래의 예술이 지향하던 감성적 표출 및 심리학적 이미지를 거부했으며 단순하고 엄격한 구성 원리와 형태를 반복적으로 배열하는 연속성 속에 조각의 의미를 두었다. 그리고 좌대를 부정함으로써 전통적인 공간 개념에서 벗어나 관람자와 공유하는 실제 공간을 중시했다. 또한 산업적이고 공업적인 재료들(철, 플라스틱판, 베니어판, 벽돌,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섬유, 유리, 형광등)을 가지고 추상적인 질서를 추구했다. 그러나 내용을 배제한 형식의 추구는 다소 극단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 며 너무나 지적이고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감상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미니멀 아트의 과학적인 사고에 의한 미학은 평면보다는 구조주의적 취향과 극단적인 간결성을 보이는 조각에 많이 나타났다. 60년대 중반 이후 평론가들의 미니멀 미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프라이머리 스트럭처 Primary Structure Art*라고 부르는 하나의 양식을 형성했다. 평면 회화의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를 비롯하여 네온을 이용한 작가 단 플래빈(Dan Flavin, 1933-1996), 완벽한 형태를 추구하는 조각가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1928-1904), 건축적인 검은 입방체 조각의 토니 스미스(Tony Smith, 1912-1981), 금속판을 바닥에 깔아 평면성을 강조한 칼 앙드레(Carl Andre, 1935~) 그리고 구조주의의 중요한 이론가이자 작가인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2018) 등이 미니멀 작업을 했다.

이들 중에서 토니 스미스의 건축적 구조물을 암시하는 입방체의 조각은 미니멀 조각에 있어서 중심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유명한 건축가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제자였으며 조수였던 그는 20여 년간 건축 설계 일을 했다. 그러나 실용적인 건축물을 만드는 일에서 창조적인 영감을 얻을 수 없었던 그는 끝없는 창의적 열망에 따라 건축에 대한 미련을 과감히 버리고 조각을 시작했다. 그는 완벽한 기하학적 형태를 공간에 설치하여 작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는데, 그의 작품 대부분에서 그가 오랜 동안 축적해온 건축의 자취도 더불어 느낄 수 있다. 또 한 사람의 조각가 도널드 저드는 완벽한 형태를 추구한 미니멀 아티 스트로 주목받은 작가이다. 그 역시 최소한의 표현 수단인 입방체를 추구했는데 처음에 화가로서 출발했던 그는 평면 미술의 전통적인 회화 이미지를 부정하면서 구조적인 조각에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도널드 저드는 '회화는 끝났다' 라고 규정지으면서 평면에 붓과 물감으로 무엇인가를 그리는 행위보다 공간 자체를 대상으로 한 조각적 표현이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의식의 결과로 육면체의 작은 상자를 나열하여 단순성과 절제를 표현했는데 이것은 2차원의 평면에서는 느낄 수 없는, 3차원 공간에서의 형태의 근원을 깨닫게 해준다. 1961년 로버트 모리스가 제작한 <기둥>이라는 작품을 효시로 발전을 거듭해온 미니멀 조각은 절제와 단순, 반복이라는 형식적 특징을 보이며 구조적인 본질에 대해 관념적이고 지적인 접근을 거듭해왔다. 그리하여 극단적이고 철저하게 예술을 물질화시켰으며 내용 없는 작품의 창조라는 어려운 의식을 실천해냈다.

 

 

*프라이머리 스트럭처(Primary Structure Art); 1960년대 중반에 영국과 미국에서 성행한 기하학적 추상 조각. 구, 원통, 각기둥, 육면체 등의 간결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했다.

반응형

'서양미술사 > 조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장의 미학, 크리스토  (0) 2023.07.09
환경과의 조화, 대지의 조각  (0) 2023.07.09
공간의 변화  (0) 2023.06.25
아상블라주 조각  (0) 2023.06.25
빛의 예술가 단 플레빈  (0) 2023.06.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