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눈에보는조각사34

팝 아트 조각의 선구자 올덴버그 넘쳐나는 물건, 쓰레기, 폐품 등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에서 현대 산업 사회의 현실과 그 현실에 속한 인간의 존재를 느낄 수 있다. 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이루어진 발명과 발견은 새로운 물질의 범람을 부추켰다. 이와 같은 현상은 미술의 미적 체험과 미적 규범에도 영향을 미쳐 종래의 전통적인 미학 즉, 자연에 근거를 둔 주제의 표현에서 대량생산되는 물질의 미학으로 변하게 했다. 이러한 산업 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팝 아트 Pop Art는 1960년대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팝 아트는 미술의 진부함에서 벗어나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면을 고려하는 새로운 미학을 제시했다. 상품성을 지닌 광고의 효과를 이용하기도 하고 매스미디어, 성적인 것 그리고 주변에서 흔히 볼.. 2023. 6. 24.
인체 복제의 조각가 조지 시걸 조지 시걸(George Segal, 1924-2000)의 실제 인간을 복제한 무표정한 얼굴의 인간 군상은 현대 도시인의 일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신에게 잠재되어 있는 체험적 환경 요인을 이끌어내서 고스란히 작품 속에 옮겨놓은 시걸의 조각은 그만큼 일상적이다. 1924년 뉴욕의 가난한 푸줏간 집안에서 태어나 줄곧 그곳에서 성장한 시걸은 도시 환경에 밀착된 정서를 가지고 현대 대중 사회의 일상의 삶을 그려나갔다. 초기 추상표현주의 경향을 띤 회화 작업을 했던 조지 시걸은 1961년부터 본격적으로 조각을 시작했다. 이후 부러진 뼈를 맞추는 데 쓰이는 의학 재료인 석고 붕대를 우연히 접하면서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조지 시걸은 석고 붕대와 석고액으로 그의 아내를 비롯하여 가족 및 친척, 이웃, 친구 그.. 2023. 6. 24.
누보레알리즘의 대표 작가 세자르의 엄지손가락 1960년대 프랑스의 평론가 피에르 레스타니(Pierre Restany, 1930-2003)는 세자르를 포함하여 이브 클라인, 아르망, 스포에리, 장 팅겔리 등을 누보레알리즘 Nouveau Realisme 계열의 조각가라고 명명했다. 누보레알리즘은 1960년 레스타니에 의해 이태리 밀라노에서 처음 결성되었다. 이후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는데, '사회의 현실을 논쟁하지 않고 그대로 기록한다'라는 취지로 출발했다. 누보레알리즘은 급속도로 진전되는 산업 사회와 그에 따른 기계 문명에 결부되어 일어났던 미국의 팝 아트 Pop Art와 때를 같이하여 일어났다. 누보레알리즘은 산업적인 미술, 즉 정크 아트 Junk Art라 불리기도 하며 도시적이고 현대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각성을 주된 내용으로 표현했다... 2023. 6. 24.
장 팅겔리의 움직이는 조각 키네틱 기계 장치의 요란한 소리와 움직임 그리고 자연스럽게 공간을 점유하며 기계의 역동성을 자랑하는 조각을 우리는 일명 키네틱 아트 Kinetic Art라고 부른다. 다다와 미래주의에 기원을 둔 실험적 예술인 키네틱 아트는 여러 작가군에 의해 실험되고 제작되었다. 1955년 파리의 드니즈 르네 Denise Rene 화랑에서 개최된 '움직임 전 La Mouvement'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지목받은 장 팅겔리(Jean Tinguely, 1925-1991)가 그 대표 주자이다. 팅겔리를 비롯 폴 뷔리, 뒤샹, 아감, 소토, 칼더, 바사렐리, 야콥슨 등 모두 8명의 작가가 이 전시에 출품했는데 그 중 장 팅겔리의 작품이 단연 관람자의 시선을 끌어모았다. 그의 작품은 오브제를 사용한 다양한 움직임의 실험으로 움.. 2023. 6. 24.
공간 속의 움직이는 조각 칼더의 모빌 모빌은 우리 일상에 익숙하게 자리잡아 다양한 형태로 쓰이고 있다. 유아의 시각을 자극하기 위한 유아용 모빌부터 공중에 떠 있는 대형 조형물의 모빌, 그리고 철사를 이용하여 균형과 공간 연습을 하는 교육용 모빌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한 번쯤은 접해본 적이 있는 낯익은 것들이다. 일명 '움직이는 조각'이라고 칭하는 모빌 Mobile은 1913년 마르셀 뒤샹의 작품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빌 작품은 미국의 조각가 칼더(Alexander Calder, 1898-1976)가 1932년 '움직이는 오브제'라고 명명한 작품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칼더는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조각가였고 어머니 또한 화가였던 덕에 예술적인 분위기의 가정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었다. 청년기에 뉴욕의 '아트.. 2023. 6. 24.
미국 최초의 철조각가 데이비드 스미스 현대 사회에 쓰이는 모든 기계류, 기성품, 공산품의 재료에는 철이 포함되어 있다. 철은 다양한 이용방법을 통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인류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물질이다. 철은 또한 현대 미술, 특히 조각과 입체물의 창조와 창작에 기여하는 재료로 많은 쓰임새를 보이고 있다. 절단하고 접고 구부리고 용접하는 등 철을 다루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조각에 있어서 철은 독창성의 전유물로 여겨지며 사용되어 왔다. 미국 최초의 철조각가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 1906-1965)는 철 조각의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다. 독특한 작업과 새로운 시도를 통해 그는 현대 미술 안에서 중요한 조각가로 기억되고 있다. 스미스는 최초로 철용접 조각을 시도한 스페인 사람 곤잘레스에게서 기술 상.. 2023.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