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미술사51

구성주의의 대표작 타틀린의 제3인터내셔널 기념비 혁명적인 역사 속에서 러시아 예술가들은 새로운 현실을 지향하는 조형 정신인 추상 예술을 창조했다. 혁명 전부터 1920년대에 걸쳐 소련에서 전개된 전위 예술 운동인 구성주의 Constructivism*는 타틀린(Vladimir E. Tatlin, 1885-1953)의 1914년 라는 작품에서 발단이 되었다. 1913년 후반 타틀린은 파리로 피카소를 찾아가 조수가 되기를 희망했다. 하지만 거절당하고 1914년 다시 러시아로 돌아왔다. 이후 피카소의 입체주의 부조 작품 를 모방하여 유리, 철사, 철판, 나무 조각 등의 재료를 가지고 기하학적 추상 작품을 시도하는데 이 작품이 바로 이다. 그 후 말레비치, 칸딘스키, 페브스너, 나움 가보 등 여러 예술가들의 호응을 얻어 1913-1921년의 짧은 기간 동안 추.. 2023. 6. 21.
입체주의 조각가 자드킨 사실주의적 전통에 대한 거부를 바탕에 깔고 있는 입체주의(큐비즘, Cubism)*는 순수한 예술의 형태를 지향했다. 야수파(포비즘, Fauvisme)**와 표현주의가 작가의 감정을 우선으로 했던 데 반해 입체주의는 감정보다는 지성을 강조했다. 입체주의는 세잔의 조형 언어를 기초로 한다. 1906~1907년 피카소의 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양식으로 대두되기 시작했고 1909년 으로 입체주의 조각이 시작되었다. 1910~1911년 피카소와 브라크에 의해 대상을 해체하고 분석한 후 논리적으로 재구성하는 분석적 입체주의가 나타났다. 1912~1915년에는 사실적 요소를 회복시켜 색면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는 종합적 입체주의가 나왔다. 이처럼 피카소에 의해서 일어난 입체주의는 조각가인 아키펭코, 리프시츠, 자드킨 등.. 2023. 6. 20.
미래주의 보치오니 미래주의의 보치오니 20세기 초 일어난 전위 예술 운동인 미래주의(Futurisme)*는 1909년 이탈리아 시인인 마리네티(Filippo Tommaso Marinetti, 1876-1944)가 프랑스의 일간지 르 피가로에 '미래주의 선언'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미래주의는 '기계 문명에 알맞은 표현은 속도와 다이내믹한 힘의 감각'이라고 주장했고, 과거의 예술에서 과감히 벗어나 공격과 투쟁, 파괴 정신을 중요하게 여겼다. 마리네티는 "달리는 자동차는 보다 더 아름답다"며 기술적인 운동과 리듬을 예찬했고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 과거의 것을 보존하는 기관을 버리자고 주장했다. 선언문이 미학적 관점에서 돌출된 것은 아니었고, 그 후 미래주의 예술가들에 의해 조형적인 관심이 이루어졌다. 그들은 미래주의를.. 2023. 5. 31.
추상조각 브랑쿠시 추상 조각의 시작, 브랑쿠시의 키스 제2차 세계대전에 의해 '인간을 위한 예술'이라는 본질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조각에 있어서도 종래의 것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이 일기 시작하면서 추상 조각의 출현이 대두되었다. 조각의 경향은 로댕으로부터 이어지는 구상 계열과 새롭게 등장한 추상 계열로 구분되었고, 추상 조각은 오늘날까지 계속 심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 새로운 조각은 움직이는 조각, 순수한 조형적 구성, 공간의 문제 등 다양하고 혁명적인 수법을 창조하면서 진전되어 왔다.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si, 1876-1957)는 최초의 추상 조각가로서 그의 예술성은 입체주의, 구성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그리고 1950년 이후의 앵포르멜과 액션 페인팅, 환경 미술, 개.. 2023. 5. 29.
20세기로 가는 전환기 조각 화가의 조각, 드가의 무희 20세기 초 예술에서 새로운 양식의 등장은, 지나간 시대의 예술관에서 벗어나려는 예술가들의 변화의 욕구와 시도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각은 르네상스 이후 거의 3세기에 걸친 침체기를 겪고 나서야 로댕이라는 위대한 작가에 의해 조형 예술로서의 자율성과 표현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걸쳐 조각의 영역은 번영을 되찾게 되었으며 로댕 이후 다양성을 시도한 그의 제자들과 주변의 조각가들은 새로운 조각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었다. 20세기 초, 조각의 이성적인 접근에 따른 결과로 3차원적인 조각적 특성에서 벗어나 시간성과 공간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채색뿐만 아니라 산업화의 결과물인 오브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들은 20세기 조각에 새로운 의.. 2023. 5. 24.
독일 표현주의 조각 독일 표현주의의 대표적 조각가 바를라흐 두 번에 걸친 세계 대전으로 인한 급격한 변혁과 대립은 20세기 미술에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인간적인 자유를 강조하고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 속에서 조형의 자율성과 예술의 순수화를 지향하는 특징이 나타낫고, 이와 같은 특징들은 20세기 전반기 미술에 잇어서 여러 가지 양식의 난립을 부추긴 원인으로 작용했다. 20세기의 다양한 현상 중에서 특히 기계 문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은 미술 세계에 입체주의, 미래주의, 구성주의, 키네틱 아트 등이 발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편 기계 문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의 반영도 있었는데 표현주의, 다다, 초현실주의 등이 그 흐름에 있었다. 이러한 양식들 중에서 표현주의는 자연주의, 아카데미즘, 인상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독.. 2023. 5. 22.
반응형